글을 쓴다는 행위는 쉽다. 그러나 제대로 쓴다는 것은 여간한 글재주를 갖지 않고는 쉬운 일만은 아니다. 그렇다고 글을 쓴다는 행위를 재주를 가져야만 할 수 있다고 지레 겁먹을 필요는 없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한 가지 복이 있다면, 훌륭한 선인들이 많다는 점이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고 하였듯 선인들의 글과 모습을 교훈 삼으면 타고난 재주가 없더라도 갈고 닦아 누구나 글재주를 가질 수 있다.

 

  현대 사회는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를 요구한다. 고등학교에서는 대입 논술, 대학교에서는 과제(레포트, 소논문 등)와 학위논문, 취업을 하기 위한 자기소개서와 이력서 등 도처에 널려 있는 것이 글쓰기의 관문이다. 그렇다 보니 서점의 서가에는 글쓰기에 관한 책들이 수십 종 꽂혀 있다. 대부분 대학교재로 글쓰기의 기술적인 면을 강조한 교범(Field Manual)과 같다. 글쓰기의 기법을 소개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기술적인 글쓰기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어떤 행위라고 하는 것이 수레바퀴처럼 양축이 어우러져야 제대로 굴러간다. 곧 그간의 글쓰기 책들이 기술적인 면을 강조했다면, 이제는 글을 쓰기 전에 무엇을 해야 하고 글을 쓴다고 하면 무엇을 써야하는지를 알아야 할 때다. 그 답을 다산과 연암은 물론 여러 선현들에게서 찾을 수 있다.

 

여기 소개하는 책,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가 바로 그 길잡이를 하는 책이다. 그간에 다산과 연암에 관한 책들이 많이 쏟아져 나와 있다. 그만큼 두 인물이 우리 역사에 제대로 된 글꾼임을 방증한다. 이 책에서는 글을 쓰는 과정을 크게 전-중-후로 나누어 전 단계에서는 먼저 마음가짐이 중요함을 이야기하고 이어 사물(세상)을 바라보는 눈과 독서의 중요성, 생각이 익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런 연후에 비로소 글을 쓰고, 글을 쓴 후에는 그것으로 털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글을 쓰는 것만큼 다듬는 것 또한 반드시 필요한 일임을 역설하고 있다. 37계로 나누어 글쓰기의 과정을 설명한 이 책은 고전을 끌어와 이야기함으로써 고전에 담긴 사상의 깊이와 심오한 뜻을 친근하게 한다.

 

  이 책의 체제는 논(論)과 해(解), 부(附) 크게 3부로 되어 있다. 논은 고전에서 배우는 읽고 쓰는 즐거움 37계에 대한 설명이며, 해는 논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연과 보충이다. 부는 글쓰기와 글읽기에서 알아야 할 것, 지켜야 할 것을 이야기하고, 아울러 참고할 만한 글쓰기 책들을 소개하였다.

 

  이 책은 글쓰기가 두려운 사람들에게 글을 쓰고 싶게 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글을 쓸 수 있는 용기를 준다. 아울러 고전을 이끌어옴으로써 고루하기만 한 것으로 치부하는 편견을 무너트리면서 고전 읽기와 감상의 즐거움을 함께 준다.

 

------------------------------------------------------------------------------------

  저자 간호윤:
  경기 화성 홍천 두메산골에 살던 어린 시절, 한학자였던 백조부에게 「명심보감」「소학」「추구」등을 배우면서 고전과 한문학에 빠져들었다. 순천향대 국어국문학과와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인하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교대, 인하대, 중앙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고전의 재해석을 통한 현대적 글쓰기에 천착해왔다. 연구실이나 논문집에만 갇혀 있는 고전은 고리삭은 ‘고전’일 뿐이며, 연구실에 박제된 한문학, 고전문학은 마땅히 소통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고전을 현대인들의 눈높이에 맞춘 저서에는 「억눌려 온 자들의 존재증명」「종로를 메운 게 모조리 황충일세」「개를 키우지 마라」「읽고 쓰는 즐거움」등이 있으며, 전문서에는 「한국 고소설비평 연구」「조선후기 필사본 한문소설집 선현유음」「마두영전 연구」「한국 고소설비평 용어 사전」「주생전, 위생전 자료와 해석」등이 있다.
                         더 읽기 >>>  http://imunhak.com/abook/1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