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지.jpg

 

   휴가 중이라 밥 짓기도 좀 게으름을 피우고 싶었다. 하지만, 출근해야 하는 식구가 있어 어쩔 수 없이 선잠을 털고 일어났다. 비몽사몽간에 쌀을 씻으려고 수돗물을 틀었다. 그런데 바가지에 물이 채 차지도 않았는데 왼손 바닥으로 자꾸만 물이 흘러내렸다. 찬물의 촉감과 함께 완전히 잠에서 깨어난 나는 이상하다 싶어 바가지 밑을 들여다 보았다. 어느 새 깨졌는지, 바가지 밑에 아주 가느다란 실핏줄 같은 금이 가 있었다.  
   이제 이 바가지와도 이별이구나 하고 생각하니 마음이 짠해왔다. 영원히 깨질 것 같지 않던 바가지. 크지도 작지도 않는 알맞은 사이즈에, 높지도 낮지도 않아 다용도로 쓰였던 바가지다. 나랑 동고동락 해 온 지가 몇 해인가. 나는 이 바가지에다 쌀을 씻었고, 콩나물이나 상추 등 푸성귀를 씻었으며, 밭에 가서 풋고추나 깻잎, 토마토를 따올 때에도 이 바가지를 들고 나갔었다. 그렇게 손에 익었고 내겐 만만했었다. 하지만, 한번도 귀하다거나  이토록 애잔함을 느껴본 적은 없었다. 

   쌀을 밥솥에 앉히고 부엌일도 끝났는데, 계속 바가지를 만지작거리며 쓰레기통 앞에 서 있었다. 한갖 깨진 바가지일 뿐인데  쓰레기통에 훌쩍 던져버리지 못하는 이 마음은 무엇인가. 마치, 다 헤어져 못 입게 된 옷이라도 그 옷에 얽힌 추억이나 사연 때문에 버리지 못하고 다시 옷장에 넣어두는 심정이랄까. 정든 사람, 정든 곳 떠나는 것 못지 않게 정든 물건을 내버리는 일도 쉽지 않다.  '이별'에 대한 면역성이 약해진 건 오래된 이야기지만 요쯤 부쩍 더 심해진 듯하다.    

   하지만 어쩔거나. 쓰지 못하는 바가지는 버려야지. 재가 되어버린 추억을 강물에 띄우듯 하얗게 잊어야겠지. 나는 삼 년간 정들어 왔던 바가지를 쓰레기통에 훌쩍 던져버렸다. 이제 바가지의 존재를 기억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저만이 가졌던 역사와 한 생명이 끝났다. 순간, 한갖 사물에 불과했던 바가지가  하나의 생명체로 다가왔다.  

   '그렇구나. 너도 너만이 가진 생명이 있었구나. 삼 년밖에 못 살고 간 짧은 목숨.  어두운 수납장에 갇혀 주인이 불러주기만을 기다리던 여린 목숨. 더 멋진 이름과 색깔을 가졌을 법하지만 그저 숙명이거니 하며 3불 짜리 인생으로 살아왔던 너. 사람들은 너를 곧 잊어버리겠지. 마치, 한 마리 작은 새가 나뭇가지에 앉았다 떠나가도 그 흔적을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듯...... 너는 그저 하나의 사물일 뿐, 네가 가진 역사나 네가 지녔던 목숨의 값을 사람들은 헤아려보지도 않겠지. 나도 오늘에서야 알았구나. 너도 사람들처럼 유한한 목숨을 지닌 슬픈 생명체라는 것을... ' 
     쓰레기 통에 버려진 바가지를 보며 나는 좀체 자리를 뜰 수 없었다. 바가지도 '슬픈 생명체'라는 생각에 이르자, 교교한 달빛을 이마에 받으며 죽은 듯 잠자고 있던 다운타운의 노숙자 무리가 떠올랐다. 쓰레기와 뒹굴며 자고, 쓰레기처럼 살다가 잊혀질 목숨이기에 깨진 바가지와 유사한 연민을 불러일으켰는지도 모른다.  
   어찌 보면, 바가지는 이, 삼 불이면 살 수 있는 어줍잖은 물건이다. 하지만, 진열장에 놓여있는 무수한 물건 중에서 하필이면 내 눈에 뜨이어 나와 인연 맺는 그 순간, 그는 한 생명체로 태어난다. 나는 그것을 이전에는 알지 못했다. 아니 느끼지 못했다. 무심했기 때문이다. 한 송이 들꽃도 누군가에 의해 그의 빛과 향에 맞는 이름으로 불리울 때, 비로소 꽃다운 목숨으로 피어난다고 하지 않는가.   
   요즘 따라, 사라져 가는 모든 것들에 부쩍 애정이 솟고 어줍잖은 이별 하나에도 두 배의 아픔이 인다. 이는, 우리 집이 아파트 건축 업자에게 팔리고 에스크로에 들어가면서부터 더욱 두드러진 심적 변화이다. 새 주인이 들어와 그냥 우리 집에서 산다고 했던들 이처럼 섭섭하지는 않았을 게다. 그런데 그들은 부동산업자라 우리 집을 송두리째 헐어 버리고 타운 하우스를 지어 올릴 거라고 했다. 어줍잖은 바가지 하나를 두고, 그와의 이별을 지나치게 애석해함도 '사라짐' 이 주는  심리적 여파가 아닌가 싶다. 부동산 붐을 타고 집 값이 올랐다고 기뻐한 것도 잠시, 나와 인연을 맺고 눈맞춤 했던 모든 것들이 포크레인에 깔려 뭉개진다고 생각하니, 지금이라도 되물리고 싶다.

   우리의 추억과 가족의 역사가 있는 집이 헐려 나가고, 남편이 손수 만든 정자며 그 곁에 올린 쟈스민 넝쿨도 뿌리 채 뽑혀나간다. 곡선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뽐냈던 수영장도 흔적없이 묻혀버리고, 내 시심을 돋아주었던 팜트리와 정원수들이 저들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마지막 생을 고하게 된다. 모두 저만이 가졌던 역사와 한 삶이 일시에 지워져 버린다. 생물도 무생물도 거부할 수 없는 운명이다. 그러고 보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슬픈 공동 운명체인지도 모른다. '이렇게 빨리 끊어질 인연이라면, 좀더 애정을 줄걸...'하는 일말의 자책이 가슴을 쑤신다. 방에 들어와서도 계속 생각에 잠겨있던 내가 뜬금없이 남편에게 말했다.
   "사물도 생명이 있는 것 같애."
   "사물이 무슨 생명이 있어? 생명이 없으니까 사물이지."  
   "아니야, 사물도 저만이 가진 유한한 생명이 있어. 그리고 저만이 가진 삶의 역사가 있어."
   대수롭잖은 듯 받는 남편의 말에, 나도 혼자말처럼 나직이 되뇌었다. 갑자기 웬 선문답 같은 얘기를 하느냐는 듯 남편은 나를 돌아보았다. 당연한 얘기를 하는 실리적 남편과 당연에 환상의 옷을 입혀 소녀적 감상에 젖어있는 나와는 달라도 참 많이 달랐다. 이렇게 다른 두 사람도 언젠가는 '이별'과 '사라짐'의 대상이 되겠지. 깨진 바가지로 시작된 섭섭한 생각이 '유한한 삶'에 대한 쓸쓸함까지 불러왔다. 하지만 어쩌랴. 그것이 존재의 한계라면.  깨진 바가지나 노숙자의 삶이 별반 다르지 않듯, 헐려나갈 우리 집과  나의 운명도 별반 다르지 않다. 언젠가는 내 육신도 허물어진 '황성 옛터'가 될 테니까. 그저  바람에 눕는 풀잎 같은 마음으로  열심히 살아갈 수밖에는 없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