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아이의 방(블루).jpg

 죽은 아이의 방 (블루2).jpg

 

   사진작가 사이트에 들어갔다가, 충격적인 사진을 보았다. Milranda Hutton의 작품으로 ‘Rooms' 프로젝트인데 ‘죽은 아이들의 방’이란 부제가 붙어 있었다. 아이는 가고 없어도, 차마 치우지 못해 유품 그대로 보관하고 있는 여러 아이들의 방을 시리즈로 찍은 것이었다. ‘죽은 아이들의 방’은 소리 없는 말로 참 많은 이야기를 걸어왔다.

재잘대던 소리와 웃음으로 왁자하던 ‘존재의 방’이 이제는 ‘부재의 방’이 되어 죽음보다 깊은 침묵 속에 잠겨 있었다. 사원의 정적인들 이토록 고요할까. 평화로움과는 또 다른 느낌이 가슴을 죄어왔다. 소리를 먹은 그림, 뭉크의 ‘절규’를 볼 때와 같은 느낌이랄까. 가슴이 답답해 왔다. 부재의 아픔이요 상실의 고통이었다. 세상의 모든 움직임과 소리가 일시에 정지된 공간, 그것이 바로 ‘죽은 아이들이 남기고 간 방’이었다.

   죽음은 그림자를 말아가듯 이렇듯 소리까지 말아가는 것일까. 소리란 소리를 다 데리고 그들은 어디로 먼 마실을 떠난 것인가. 하다못해 엄마의 울음이나 기도소리로라도 채워 이 질식할 것 같은 침묵을 퍼내야 했다. 아니면, 모짤트의 레퀴엠이라도 틀어놓아야만 마음 편히 슬픔에 잠길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창을 비집고 들어오는 햇빛은 비정할 정도로 화사했다. 그러나 창가에 놓인 사진틀 속의 미소 띤 아이들 얼굴은 슬픔의 극치였다. 빈 침대 위에 소품처럼 놓여 있는 이불과 베개, ‘새로운 시작’을 영원히 알려줄 수 없는 꺼진 컴퓨터, 그리고 빈 책상, 온기가 사라진 빈 의자, 그들의 체온을 감싸주었던 옷들, 가지고 놀던 장난감과 인형들....... 한때는 주인공과 더불어 한껏 제 존재를 빛냈을 사물들이 이제는 한갓 유품이 되어 잠들어 있다. 죽음은 정녕 침묵인가, 소리 없는 아우성인가. 눈짓 하나 손짓 하나에 담겨 있는 그 추억들을 다 어이하랴. 가슴이 미어왔다.

   나도 가슴에 묻은 어린 아들이 하나 있다. 오랜 가뭄 끝에 장마가 시작되던 초여름 날이었다. 창밖에서는 플라타너스 넓은 잎이 빗방울을 털어내고 있었다. 후두둑 후두둑. 가슴을 두드리던 그 소리를 들으며 네 살 박이 아들 녀석은 홀로 먼 길을 떠났다.

건강하고 착한 아이였다. 그런 아이에게 급성 임파선 백혈병이라니. 난 믿을 수가 없었다. 그 애의 여명 기간은 짧으면 보름이고 길어봤자 두 달이라 했다. 네 살 생일을 못 지내고 갈까봐 생일을 앞당겨 해주었다. 태권도 도장 친구들은 맛있게 먹는데, 그 아이는 케잌 한 조각 입에 대지 못했다.

   다음 날 새벽, 아이는 자꾸만 목이 타 오는지 우유를 사 달라고 했다. 뭘 사달라고 한 번도 칭얼댄 적이 없던 녀석이었다. 그즈음 남편은 어떻게 해서든지 아이를 살려 보려고 양의, 한의를 찾아다니며 할 수 있는 민간요법까지 다 동원할 때였다. 우유나 야쿠르트가 안 좋다는 말을 어디서 듣고 왔는지, 나더러 절대 먹이지 말라고 당부한 뒤 출근을 했다.

의사로부터 이미 사형선고를 받고 온 터라 나는 할 수만 있다면 모든 걸 다 해주고 싶었다. 하지만, 몸에 안 좋다고 하는데 난들 어쩌랴. 안 된다는 암시로 아랫입술을 살짝 깨물며 고개를 흔들었다. 그때 아들 녀석이 창밖을 보더니, "아, 참! 엄마! 비가 와서 못 가겠제? 그럼 내일 사 줘!"하며 베개에 얼굴을 묻었다. 아픈 와중에도 착했던 심성은 여전했다. 감동한 나는 “그래, 그래. 착하기도 하지. 내일 꼭 사줄께."하고 엉덩이까지 두드려주며 약속을 했다. 아이도 희미한 미소를 지었다.

   그리고 그날 밤 10시 30분, 우유를 사달라던 그 '내일'이 오기 전에 아이는 먼 길을 떠났다. 먹고 싶던 우유도 못 마시고 목이 마른 채 55미리 고 작은 발로 타박타박 떠나고 말았다. '단장의 아픔'도 덜 아플 때 느낀다는 걸 그때 처음 알았다. 꿈인가, 현실인가, 소설인가. 모두가 비현실로 느껴져 몽롱할 뿐, 눈물도 나오지 않았다. 생과 사. 문지방 하나 넘기가 그렇게 수월할 줄이야. 엄마 보다 앞장서서 쥐를 쫓아주던 착한 녀석. 내 아이는 그렇게 갔다.

    하지만, 단칸방 신혼살이로 시작한 가난하던 시절이라 나는 아이의 방을 남겨두지 못했다. 아이의 유품은 모두 동네 고물상으로 갔다. 며칠이 지나자, 어떤 아이는 우리 아이의 세발자전거를 타며 동네를 휘젓고 다녔고, 어떤 아이는 우리 아이가 좋아했던 빨간 장화를 신고 나무에 오르고 있었다. 모두가 우리 아들처럼 고만고만한 친구들이었다. 그 아이들 얼굴에 우리 아이의 얼굴이 오버랩 되는 밤에는 아파서 칭얼대던 신음조차 그리워지곤 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큰 고통은 그 애의 마지막 부탁을 들어주지 못했던 자책감이었다.

   그러고 보니, 서른 번도 더 넘는 계절이 다녀갔다. 세월이 명약인지, 잊음이 헐한 건지 오늘도 나는 밥을 먹었고 웃기까지 했다. 가끔은 그 애 생일을 잊기도 하고 기일마저 까먹기도 한다. 그게 오늘따라 너무 미안하다. 이렇게 다들 못잊어서 방을 치우기는커녕 이사조차 못하는데.......

    해가 지면, 산그르메도 제 집을 찾아들건만 아이는 꿈길로도 찾아 주지 않는다. 잘 있으니 안심하라는 건지, 엄마처럼 잊고 살겠다는 엄포인지. 방조차 남겨두지 못한 이 가난한 엄마는 빛바랜 사진을 보며 마음을 달랠 수밖에 없다. 부활의 소망을 안고 살다보면 다시 만날 날도 오겠지, 그런 마음으로 살아간다.

   화룡점정. 죽음보다 깊은 잠에 빠진 침묵의 방에 붓을 들어 점 하나 찍어주고 싶다. 죽었던 아이들이 용트림을 하며 되살아와 뛰고 굴리며 왁자하게 떠들고 놀아주었으면 좋겠다. 이 작은 행복마저 신은 왜 그리도 빨리 앗아가 버렸는지 야속하기만 하다. (1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