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jpg

 

   -태양과 비가 서로 다투고 있었다. 그들은 둘다 같은 시간에 하늘에 있고 싶었다. 누구도 고집을 꺾지 않았으므로, 비가 억수로 쏟아지면서 햇빛 또한 쨍쨍 내리쬐었다. 그 덕분에 하늘에는 아름다운 무지개가 걸렸다. 햇빛과 프리즘 역할을 한 수정 빗방울들이 만들어 낸 것이다. 때로는 불화가 아름다운 무지개를 만든다.-

   팀을 이루어 일을 하다 보면 서로가 고집을 꺾지 않을 때가 있다. 때로는 얼굴을 붉히기도 하고, 음성을 높이기도 한다. 모두가 더 잘 되자고 하는 일인데도 오히려 일을 그르치고 만다. 심지어는 좋은 뜻으로 모인 친구들이 서로 외면하는 사이가 되기도 한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일까. 삼십대의 의문이었다.
   어느 날, 나는 조용하면서도 열심히 일하는 한 형제로부터 여기에 대한 답을 들을 수 있었다. '상대방의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으면서도,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화법'. 즉, 겸손과 온유함을 그 답으로 제시해 주었다. 상당히 긍정적으로 들리는 말이었다. '옳은 건 옳은 거지'하며 끝까지 자기 고집을 부리던 나도 이 말을 듣고 부터는 내 주장을 슬그머니 '약화'시키게 되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내 목소리가 작아졌을 때 오히려 일이 더 좋은 방향으로 빨리 해결되는 것이었다.
   시간이 흘러 내 나이 사십 대에 들어섰을 때, 또 하나의 답을 신부님으로부터 들을 수 있었다. '참 봉사자의 자세'에 대해서 인터뷰를 할 때였다. '좀 늦어지더라도 기다려주는 것.' 성급함에서 자기 주장이 더욱 강해진다고 했다. '주님은 일을 훌륭하게 처리하는 것 보다, 서툴더라도 화목하게 일을 해 나가는 것을 원하신다'고 했다. 그 말씀에 나는 또 한번 고개를 끄덕였다. 그러면서 내 자신을 돌아보았다. 신부님께서 분류하신 세 봉사자 유형 중에 나는 어느 부류일까. 체면이나 형식을 위한 바리사이파일까, 아니면 스스로 즐거움에 도취된 자기 만족주의자일까 그도 아니면 깊은 신앙을 지니고 겸손되이 일하는 참 봉사자일까. 적어도 세 번 째는 아니라는 생각에 부끄러웠다. 하지만, 기다려주는 것과 늘 화목하게 일하는 것이 참 봉사자의 자세라는 말씀은 작은 종소리로 남아 지금도 종종 날 일깨워주곤 한다.  
   이제 내 나이 오십 대에 이르러, '지혜의 발자취'에서 또 하나의 답을 읽는다. 고집을 꺾지 않고 공존하면서도 아름다운 조화를 이룰 수 있음을. 그것은 상대를 인정하고 수용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배운다. 사실,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여 내 놓은 의견이, '무책임한 다수'에 의해서 일시에 묵살될 때의 참담함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게다가, 그 결과가 더욱 좋게 나왔을 때는 자존심마저 상한다. 하지만, 이런 때일수록 선뜻 손을 내밀어 축하의 악수를 청할 수 있는 사람이 용기있는 사람이요, 진정한 승자(?)가 아닐까. 세상은 꼭 내 의견이나 주장이 아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해결 되기 마련이고 좋은 결과가 나오기 마련이다.
   함께 팀이 되어 만들어가는 세상, 삼 십대에 얻은 대답과 사십 대에 얻은 대답과 오십 대에 얻은 대답에 육십, 칠십 대에 얻을 대답까지 얹어 아름답게 가꾸어 나가고 싶다. 마치 태양과 비가 하늘 정원에 아름다운 무지개를 피워올리듯.
   정몽주의 '단심가'에서 이방원의 '하여가'로 변해가는 자신을 본다.

 

 

더 보기   >>>   http://imunhak.com/sessay/1418